학력
을지대학교(舊 서울보건대) 치위생학과 보건전문학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보건행정학과 보건행정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보건관리학과 보건학박사
주요경력
現 을지대학교 치위생학과 조교수
現(2010년~현재) 치과위생사 국가시험(실기) 채점위원
現(2022년~현재) 한국보건의료윤리학회 편집위원장
現(2021년~현재) 성남시 지역보건의료심의위원
現(2021년~현재) 성남시 초등학교 치과주치의사업 협의체 위원
現(2021년~현재) 한국치위생과학회 임상치위생 분과회 회장
現(2019년~현재) 한국치위생과학회 교육이사
現(2020년~현재) (사) 치매케어학회 편집이사
現(2018년~현재) 한국구강보건과학회 편집위원
前(2015년~2018년) 대한치과위생사협회 공보위원
연구실적
[논문]
Effect of self-learning media based on 360° virtual reality for learning periodontal instrument skills, Eur J Dent Educ. 2022;00:1–8.
Socioeconomic status, food security, and chewing discomfort of Korean elders: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utr Res Pract. 2022 Feb;16(1):94-105
A Systematic Review on Oral Health Care Programs for the Elderly in Korea (2009∼2020), J Dent Hyg Sci. 2021;21(4)199-212.
The Influence of Women Dental Hygienists’ Work–Family Balance on Happiness Level in Dental Clinics, J Dent Hyg Sci. 2021;21(3)158-167.
Gender Sensitivity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Dental Hygiene Students. J Dent Hyg Sci. 2021;21(2)111-118.
The association of Antonovsky’s sense of coherence and job stress among dental hygienists in Korea. Int J Dent Hyg. 2020 ;18:307-313.
The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behaviors and oral health literacy in North Korean defectors. BMC Pulic Health. 2020 July;20;1074.
A Survey on the Status and the Importance of Initial History Taking in Dental Clinics in S Area, J Dent Hyg Sci. 2020;20(4)261-268.
Surface Damage and Bleaching Effect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Type of Home Tooth Bleaching Applicant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2020;20(4)252-260.
The association between visual impairment and dental care utilization in the Korean elderly. Arch Gerontol Geriatr, 2019;81:18-24.
Thymosin β4 is associated with bone sialoprotein expression via ERK and Smad3 signaling pathways in MDPC‑23 odontoblastic cells. International J. of Molecular medicine, 2018;42:2881-2890.
Facto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Dental Hygienists : Emotional Labor,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2018.
국내 표준 임상치위생실무지침의 개발 및 타당성 평가, 한국치위생학회. 2020
2013-2017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근거한 미세먼지 오염도가 높은 지역의 40세 이상 성인남성의 식생활과 건강관련 특성 및 질환 상관성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20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 의사소통 능력이 조직 내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지. 2020
여학생의 체질량지수(BMI)와 주관적 건강 인식, 구강건강 행태와의 관계 : 제13차(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치위생학회. 2019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이 지각된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2019.
일부 대학생의 비만도와 건강행동, 구강건강행동 및 구강보건지식과의 관계,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2019.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국내 치과공포 연구 동향분석(2007-2017), 한국치위생학회, 2018.
간병인의 구강보건지식 및 태도가 노인환자의 구강건강관리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2017.
국내 치위생(학)과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 운영현황 분석, 한국치위생과학회, 2017.
미국 폰즈 스쿨의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국내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에 관한 고찰, 한국치위생과학회, 2017.
일부 치과위생사의 응급처치 지식, 수행자신감과 대처능력과의 관계,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2017.
치과위생사의 노인에 대한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 2016.
치과의료소비자의 구강건강신념이 건강보험 급여화에 따른 스케일링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치위생학회. 2015.
건강보험 치석제거 수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치위생과학회 2015.
중ㆍ고등학생의 구강건강신념이 구강건강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치위생학회. 2015
앤더슨 모형을 적용한 산업체 근로자 직업유형에 따른 구강보건 행위와 치과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치위생학회. 2015
[저서]
임상치위생학(대한나래출판사, 2022)
치위생윤리(대한나래출판사, 2020)
노인 및 특수 구강관리학(대한나래출판사, 2020)
대상자 중심의 노인 구강관리를 위한 치위생과정(의학교육, 2020)
[보고서]
대한치과위생사협회(2021). 치위생수가 산정을 위한 치위생행위의 규명
산업인력관리공단(2014). 2014년 국가직무능력표준(NCS)개발사업 -산업환경관리, 실내공기질관리, 위해성관리, 지역사회위생관리
안전보건공단(2014) 제 3차 서비스업 및 운수창고통신업 위험직종 기초실태조사 및 안전가이드 개발
어린이집안전공제회(2013) 어린이집 안전관리 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수상실적]
보건복지부장관 표창(2022)
경기도지사 표창 (2021)
한국치위생과학회, 교육치위생학 부문 최우수논문상 (2022)
한국치위생과학회. 연구논문 우수포스터상 (2020)
한국치위생과학회. 연구논문 우수포스터상 (2019)
힌국치위생과학회. 임상치위생학 부문 최우수논문상 (2018)
연구분야
치위생학, 보건학. 건강증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