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
- 안동대학교 인문대학 민속학과 졸업(1988), 문학사, 민속학 전공
- 안동대학교대학원 민속학과 졸업(1992), 문학석사, 민속학 전공
- (日本)大阪外国語大学日本語 센터 일본어 과정 수료(1999)
- 고려대학교대학원 문화재학과 졸업(2007) 문학박사, 문화재학, 민속학 전공
주요 경력
현)서울특별시문화재위원(동산분과)
현)(사)규암독립사상연구소 부소장
현)국립민속박물관 민속대백과사전(가족편) 집필위원
현)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 가족분과위원(집필위원)
현)비교민속학회 이사
현)성남시 박물관 설립 및 운영위원
전)국립안동대학교 민속학과 조교
전)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학예연구관
전)국립민속박물관 국립어린이박물관 교육과장
전)대한민국역사박물관건립추진단 학예연구관, 전시자료과장
전)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전시운영과장, 교육과장, 연구기획과장, 조사연구과장
전)(日本)国立民族学博物館 객원조교수
전)서울특별시 문화재전문위원(무형문화재분과, 동산분과)
전)(사)규암김약연기념사업회 학술이사
전)서울민속학회 부회장
전)서울민속학회 회장
전)한국역사민속학회 지역이사
전)국립민속박물관 민속대백과 사전(일생의례, 의식주생활, 민간신앙) 집필위원
연구실적(논문)
- 〈항일독립운동의 기지 북간도 명동촌 개척자들의 일생의례〉, 《비교민속학》68(2019.04)
- 〈대한민국임시정부의 1920년도 대한민력 발행과 그 의미〉, 《한국독립운동사연구》65(2019.02)
- 〈사진과 회고로 보는 1900년대 전반기 북간도 한인의 장례문화〉, 《민속학연구》42(2018.06)
- 〈박물관형 아카이브와 민속학적 활용〉, 《비교민속학》60(2016.08)
- 〈놀이판 ‘습례국’에 나타난 1910년대 한글 사용과 제례문화〉, 《국학연구》30(2016.08)
- 〈서울의 근대 민속, 신문명과 식민지 문화의 남촌〉, 《서울민속학》2(2015.12)
- 〈서울민속학 연구의 지평확장을 위한 연구대상과 분야〉, 《서울민속학》창간호(2014.12)
- 〈현대사박물관의 전시방법과 시각〉, 《2013 서울역사박물관 리뷰 MUSEUM REVIEW-현대사와 박물관 전시》(2013.12)
- 〈북간도 명동학교 막새기와의 꽃문양에 나타난 민족의식〉, 《한국독립운동사연구》48(2014.08)
- 〈아카이브와 민속아카이브, 민속박물관〉, 《기록인》18(2012.03)
- 〈일생의례 관련 속신의 종류와 기능〉, 《실천민속학연구》18(2011.08)
- 〈현대 한국사회 전통상례의 현황과 과제〉, 《국학연구》17(2010.12)
- 〈민속아카이브와 사진민속학〉, 《생활문물연구》26(2010.09)
- 「韓国の琴とシャーマニズム」, モノ学-感覚価値研究4(2010.03)
- 〈마을민속에서 산업민속으로 변화되는 일생의례의 연구〉, 《민속연구》19(2009.12)
- 〈한국 일생의례의 동아시아적 보편성과 고유성〉, 《비교민속학》39(2009.08)
- 〈수의고〉, 《생활문물연구》24(2009.06)
- 〈화장문화 확산에 따른 전통상례의 변화〉, 《장례문화연구》5-1,2합본호(2008.11)
- 〈장례식장의 의례 민속과 장례 서비스〉, 《실천민속학연구》12(2008.08)
- 「余韻で構成される韓国の伝統葬礼」, 国立歴史民俗博物館研究報告141(2008.03)
- 〈민속아카이브 구축〉, 《민속연구》17(2008.02)
- 〈현대 한국 상례문화의 변화〉, 《한국문화인류학》40-2(2007.11)
- 〈한국 유교식 상례의 문화적 전통화 과정-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을 중심으로〉, 《장례문화연구》4-2(2007.08)
- 〈일본의 화장, 불교식 장례〉, 《불교학연구》16(2007.04)
- 〈도시 장례식장에서 지속되는 상례의 문화적 전통〉, 《실천민속학연구》9(2007.02)
- 〈현대 한국 장묘문화에 있어 일본식 화장・납골의 영향과 그 문제점〉, 《한국민속학》43(2006.06)
- 〈조선시대 묘비의 종류와 특징〉(공저), 《장례문화연구》3(2005.12)
- 〈현대 도시공간의 상장례 문화〉, 《한국민속학》41(2005.06)
- 〈중국 흑룡강성 조선족 생활문화의 지속과 변동-의례와 축제를 중심으로-〉(공저), 《AURA(한국사진학회지)》12(2005.02)
- 〈일본의 장제디렉터제도〉, 《장례문화연구》2(2004.12)
- 〈고구려 상례문화의 정체성〉, 《역사민속학》18(2004.06)
- 〈길제의 정치적 성격〉, 《비교민속학》26(2004.02)
- 〈솟대타기 연희의 기원과 전개〉, 《한국민속학》38(2003.12)
- 〈신주의 유무에 따른 상례의 차이〉, 《역사민속학》15(2002.12)
- 〈변화되어 가는 일본의 혼례와 그 용품〉, 《생활문물연구》6(2002.10)
- 〈현행 상례용어의 변용〉, 《한국장례문화학회지》1(2002.05)
- 〈가정의례준칙이 현행 상례에 미친 영향〉, 《역사민속학》12(2001.06)
- 〈박물관 정보화를 위한 기초정보 생산과 DB구축〉, 《박물관학보》3(2000.12)
- 〈용인지역의 제사〉, 《인문사회과학논총》5(2000.05)
- 〈상례, 누구를 위한 의례인가?‐상례절차의 구조분석을 중심으로‐〉, 《민속학연구》7(2000.08)
- 〈씨족집단 정사의 기능과 의미체계〉, 《역사민속학》4(1994.11)
연구 실적(저서)
- 《대한독립! 그날을 위한 봉오동전투》(2020.06)
- 《전주류시 임당시제》(2016.12)
- 《한국의 상례 문화-한국 유교식 상례의 변화와 지속》(2012) * 2013 학술원 우수도서
- 《선종-김수환 추기경》(2011.12)
- 《삼년상-화재 이우섭》(2011.12)
- 《삼년상-소운 김시인》(2011.12)
- 《왜 그럴까》(2010)
- 《이제가면 언제 오나》(호박돌우리문화07)(2010)
- 《한국 민주화 운동과 종교-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종교인들의 내면 동력에 관한 구술사적 연구》(공저), 〈김약연과 북간도 항일독립운동, 그리고 민주화 운동-김재홍의 구술을 중심으로〉(2020.12)
- 《독립전쟁! 그 현장을 가다》(공저)(2020.10)
- 《한국 근현대 음악 100년의 기록-1890~ 1990》(공저), 〈한국근현대음악관 탄생의 역사적 의미와 소장 자료의 미래 가치〉(2020.07)
- 《코로나 시대, 다시 집을 생각하다》(공저), 〈제3강 일생일대의 순간, 서울 사람들은 집에 있었다〉(2021.02)
- 《단종에게 길을 묻다》(공저), 〈영월 단종국장 재현에서 풀어야 할 과제들〉(2018.04)
- 《한국의식주생활사전》(공저)(2017.12)
- 《화장문화의 이해》(공저), 〈제2장 제2절 화장의 역사〉(2017.04)
- 《항일독립운동의 기지 북간도와 기독교, 그리고 한신대학교》(공저)(2017.02)
- 《백제왕성 서울 풍납동 토성의 현재와 미래》(공저), 〈도시민속학적 관점에서 본 풍납토성〉(2018.03)
- 《한국민속예술사전》(공저)(2016.12)
- 《신라천년의 역사와 문화-연구총서17, 신라인의 생활과 문화》(공저), 〈제2장 신라인의 일생의례〉(2016.11)
- 《한국일생의례사전》(공저)(2014.11)
- 《기증자료의 의의와 활용 방안》(공저), 〈기증자료의 가치 증대를 위한 자료화의 의미와 과제〉(2014.06)
- LA PLCAE des MORTS DANS les MÉGALOPOLES D’ASIE ORIENTALE(공저) “9. L’industrie Funéire coréenne, un état des lieux”(2013)
- 《일생의례로 보는 근대 한국인의 삶》(공저), 〈현대 한국 상례문화의 변화〉(2013.07)
- 《조상제사 어떻게 지낼 것인가》(공저), 〈조상제사 어떤 순서로 지내야 하는가〉(2012.12)
- INVISIBLE POPULATION-THE PLACE OF THE DEAD IN EAST ASIAN MEGACITIES(공저) “9. Overview of Korea’s Funeral Industry”(2012)
- 《한국역사민속학강의2》(공저), 〈상례와 상여집〉(2010.12)
- 《그 따뜻한 이별의 기억》(공저), 〈김언석 기증 사진으로 읽는 1960년대의 상례〉(2010.03)
- 《서울 민속의 현재와 미래》(공저), 〈서울지역 장례식장의 의례민속〉(2010.04)
- 《광주시사》3권(공저), 〈제3권 제3편 제2장 일생의례의 마지막 관문 상장의례〉, 〈제3권 제3편 제3장 조상에게 복을 비는 제사의례〉(2010.03)
- CURRENE ISSUES on KOREAN FOLKLORE(공저) “Mourning Ritual and Perception of Death in Modern Korean Society”(2009.10)
- 《원주 동화리 노회신벽화묘 발굴조사보고서》(공저), 〈노회신벽화묘의 의례적 성격〉(2009.11)
- 《종교와 그림》(공저), 〈유교식 제사 실천을 위한 감모여재도〉(2008.12)
- 《김재홍 기증 사진집 북간도에 세운 이상향 명동》(공저), 〈사진으로 읽는 북간도 한인의 생활문화〉(2008.11)
- 韓国の宗教と祖先祭祀(공저), 「天道教の祭祀民俗誌」(2008.02)
- 《목인박물관주요소장품도록》1(공저), 〈한국 상장례문화의 이해〉(2006.12)
- 《종교와 일생의례》(공저), 〈유교식 상장례 문화-그 구조와 의미〉(2006.12)
- 《종교와 조상제사》(공저), 〈천도교의 제사민속지〉(2005.12)
- 《한국인의 일생》(공저), 〈1장 출생, 3장 관례와 혼례, 8장 회갑과 회혼례, 9장 상례, 10장 제례〉(2005.12)
- 《한국민속학 일본민속학Ⅰ》(공저), 〈한국민속학의 현지조사연구 방법론〉(2005.10)
- 《산골문화-그 새로운 접근을 위한 연구》(공저), 〈화장문화 변천의 역사적 의미〉(2004.03)
- 《석남 송석하, 영상민속의 세계-연희편》(공저), 〈석남 송석하 선생 사진의 영상민속학적 의의〉(2004.11)
- 《韓國의 美術文化史 論叢》(공저), 〈博物館 情報化 어떻게 할 것인가(Ⅰ)〉(2002.04)
- 《민속문화, 무엇이 어떻게 변하는가》(공저), 〈혼례전통, 다 바뀐 것은 아니다〉(2001.09)
- 《실천민속학연구3-민속문화의 지속과 변화》(공저), 〈디지털시대 제사방식의 지속과 변화〉, (2001.08)
- 《장례학개론》(공저), 〈장의의 일반적 절차〉(2000.12)
- 《민속문화의 지역적 특성을 묻는다》(공저), 〈가가례로 보는 경기지역 제사의 특성〉(2000.11)
- 《한국민속사입문》(공저), 〈일생의례의 역사〉(1996.03)
수상실적
포장(2013)
연구분야
상장례학. 민속학. 문화유산학, 박물관학, 독립운동사
자격사항
1급정학예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