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안내

취업 · 산학협동

교수소개

  • HOME
  • 학과안내
  • 교수소개

탄탄한 실력과 전문성을 갖춘 열정적인 교수진

오창석 교수

오창석 교수

전공 :
해부학 
전화 :
031-740-7209 
연구실 :
박애관612호 
E-mail :
oxman@eulji.ac.kr

학력

  • 순천향대학교 생명과학과 졸업 (이학사, 생물학전공)
    울산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졸업 (이학석사, 의과학전공)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졸업 (의학박사, 해부학전공)
  • 주요경력

  • 2008.09. - 2014.01.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법의학연구소 연구원
    2014.02. - 2020.0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조교
    2017.08. - 2020.02. 순천향대학교 의료과학대학 의료생명공학과 강사
    2018.01. - 현재. 대한독성유전단백체학회 상임이사
    2020.03. - 현재. 을지대학교 바이오융합대학 장례지도학과 조교수
  • 연구실적

  • [논문]
    Mitochondrial DNA Analysis of the Human Skeletons from Goryeo Dynasty Graves Discovered at Youngwol, Gangwon-do. Anat Biol Anthropol June 2019, 32(2):61-67.
    How to Return Mummified or Skeletal Human Remains to their Descendants after Anthropological Investigation. Anat Biol Anthropol June 2019, 32(2):77-82.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 analyses on ABCC11, EDAR, FGFR2, and ABO genotypes of mummified people of the Joseon Dynasty, South Korea. Anthropological Science 2018 August 31;126(2):67-73.
    An Experimental Assessment of the Cause of Mummification in the Joseon Period Burials, Republic of Korea. Archaeology, Ethnology and Anthropology of Eurasia 2018; 46(1):117-122.
    From Excavation Site to Reburial Ground: A Standard Protocol and Related Ethics of Mummy Studies in South Korea. Asian Journal of Paleopathology 2018 2:1-8.
    Alterations in Spontaneous Movement, Corticosterone, and Cytokines in Mice Exposed to 835 MHz Radiofrequency Radiation. Korean J Phys Anthropol. 2018 Mar, 31(1):19-26.
    Paleogenetic study on the 17th century Korean mummy with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PLoS One. 2017 Aug 16;12(8):e0183098.
    Tracing the historical origin of Joseon mummies considering the structural similarities between the burial systems of Korean and Chinese dynasties. Papers on Anthropology 2017 September 18, 26(2):68–81.
    Expression of glucose transporters in the developing rat skin. Anat Cell Biol. 2017 Sep;50(3):214-218.
    Effectiveness of Coupled Application of AmpFlSTR Yfiler Kit and Reduced Size Y-chromosomal Short Tandem Repeat Analysis for Archaeological Human Bones. J Forensic Sci. 2016 Mar;61(2):430-438.
    The Use and Effectiveness of Triple Multiplex System for Coding Regio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in Mitochondrial DNA Typing of Archaeologically Obtained Human Skeletons from Premodern Joseon Tombs of Korea. Biomed Res Int. 2015;2015:850648.
    Joseon funerary texts tested using ancient DNA analysis of a Korean mummy. Anat Rec (Hoboken). 2015 Jun;298(6):1191-207.
    Ancient mitochondrial DNA analyses of ascaris eggs discovered in coprolites from joseon tomb. Korean J Parasitol. 2015 Apr;53(2):237-42.
    Making Animal Model for Korean Mummy Studies. Anthropol Anz. 2014 November 1, 71(4):469-88.
    Amplification of DNA remnants in mummified human brains from medieval Joseon tombs of Korea. Anthropol Anz. 2013, 70(1):57–81.
    Autosomal short tandem repeat analysis of ancient DNA by coupled use of mini- and conventional STR kits. J Forensic Sci. 2012, 57(3):820–825.
    정상 및 노화 흰쥐 뇌에서 SIRT2 단백질 발현에 대한 연구. 노인병, 2012, 16(1):27-33.
    Differential findings in post-factum dissections of medieval Korean mummies which exhibited similar preservation patterns on computerized tomography images. Ann Anat. 2011, 193(6):544-549.
    Amplification and sequencing of Trichuris trichiura ancient DNA extracted from archaeological sediments. J Archaeol Sci. 2010, 37(6):1269-1273.
    Paleoparasitological report on Ascaris aDNA from an ancient East Asian sample. Mem Inst Oswaldo Cruz 2010, 105(2):225-228.
    인위적 분화 및 노화를 유도한 신경세포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 분포변화 비교. 대한노인병학회지, 2008, 12(1):15-23.

    [저서]
    한국 상고문화 기원연구, 학연문화사, 2013, pp. 203-234.
    고DNA 연구의 발생과 전개 그리고 응용. 발굴현장에서 고인골 분석연구실까지,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pp. 122-189.
    What could radiological study say about Korean mummies? Yearbook of Mummy Studies, 2014. Vol. 2, pp. 125-131.
    Parasite Eggs found in Korean Mummies. Yearbook of Mummy Studies. 2011. Vol. 1, pp. 75-81.

    {보고서}
    2013년 사천 구람이 유적출토 인골 자연과학적 분석검사보고서, 사천 자동차 정류장 조성부지내 문화재 발굴조사 (경상문화재연구원)
    2012년 진성이낭 미라에 관한 보고, 진성이낭묘 출토유물보존 (문화재보존과학센터)
    2011년 공주 신관동 출토 인골 조사 보고서, 공주 신관동 관골 유적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0년 파주 심지원 묘 및 신도비 유적 자연과학적 검사 보고서 (경기도박물관)
    2010년 은평 뉴타운 제2지구C공구 출토인골보고서 (중앙문화재연구원)
    2010년 경주 계림로 14호묘 출토치아 분석 보고서 (국립경주박물관)
    2010년 당진 우두리유적 I I-22호묘 출토 미이라에 대한 해부학적 분석 (충남역사문화연구원)
    2010년 울산중산동798-2 유적 동물뼈 DNA 분석 보고서 (울산문화재연구원)
    2009년 서울 신내동 유적 출토인골분석, 서울 신내동 유적 (한강문화재연구원)
    2009년 파주 운정(1)지구 19지점 출토인골에 관한 인류학적 보고, 파주 운정(1) 택지개발지구 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경기문화재연구원)
    2008년 춘천 율문리 유적 출토 유골에 대한 보고서, 춘천 율문리 335-4번지 유적 (강원문화재연구소)
    2007년 하남 덕풍골 출토 유골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 중간보고, 하남 덕풍골 유적 II (세종대학교 박물관)
  • 연구분야

  • 시신위생처리, 인체해부학, 조선시대 미라 연구, 고DNA(ancient DNA), 고병리학
  • 리스트